SJF<Work & Life Balance> #3

My Life and #DQEveryChlid 

 

Yuhyun Park (Founder, DQ Institute) 


Dr. Yuhyun Park is the founder of the DQ Institute and a world-leading expert in digital skills and child online safety.

She created the Digital Intelligence (DQ) concept and framework, which was endorsed by the OECD, IEEE Standards Association, and World Economic Forum in 2018 as the foundation to build global standards and a common framework for digital literacy, skills, and readiness. Dr. Park also developed the Child Online Safety Index, which is the world's first real-time metric tracker to help nations better understand their children’s online safety status, and leads the #DQEveryChild initiative, which is a global digital citizenship movement that has empowered more than 1 million children in more than 80 countries to date. In addition, she serves in various global leadership positions related to digital economy and education, including as the International Lead for Digital Economy in the G20 Civil Society, head of the EQUALS ITU Digital Skills Coalition, and founder of the Coalition for Digital Intelligence. She has received numerous international awards, including recognition as a World Economic Forum Young Global Leader, Ashoka Fellow, Eisenhower Fellow, and multiple UNESCO prizes. She co-authored the "Dictionary for Economics",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dictionary for economics in Korea. Her academic experiences include serving as an adjunct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in Korea and as a director at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in Singapore. Dr Park completed her Ph.D. degree and post-doctoral studies in biostatistics at Harvard University.  


박유현 박사는 DQ 연구소의 설립자이며, 디지털 역량과 아동 온라인 안전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다.

그녀는 2018년 OECD, IEEE 표준협회, 세계경제포럼으로 부터 인정받은 디지털 지능(Digital Intelligence, DQ) 개념과 프레임워크를 만들었으며, 이는 글로벌 표준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준비를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 구축의 기반이 되었다. 그리고 세계 최초로 자녀의 온라인 안전상태를 국가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시간 측정지수인 글로벌어린이온라인안전지수(COSI; Child Online Safety Index)를 개발하여, 80개 이상의 국가에서 100만명 이상의 아이들이 디지털 시민권을 부여받게되어 글로벌 디지털 시민 운동인 디큐에브리차일드#DQEveryChild 이니셔티브를 이끌었다.

그녀는 또한 G20 시민사회에서 디지털 경제 부분의 리더, 전세계 여성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EQUALS ITU 디지털 기술 연합의 리더 및 Coalition for Digital Intelligence (디지털 지능 연합)의 창립자로서 디지털 경제 및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글로벌 리더십 직책을 맡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의 차세대글로벌리더 (Young Global Leader), 아쇼카 팰로우 (Ashoka Fellow), 아이젠하워 팰로우 (Eisenhower Fellow), 유네스코 상 등을 수상하였고, "경제학사전"을 공동 저술했다.

박유현 박사는 미국 하버드대에서 바이오통계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포스트닥 과정을 마쳤다.

 

 

My 10 Years Social Impact Journey / 나의 10년간의 소셜 임팩트 여정

 

In December 2008, there was a horrible incident in Korea ? called “Nayoung’s case”. An 8 year-old girl, Nayoung (fake name), was kidnapped, brutally raped and beaten to near-death by a paedophile, Mr Cho Du-Soon, at 8 am on her way to go to a school. The whole country was outraged by this cruel act. What shocked people most was the ordinariness of the offender, Mr Cho. He was an average middle-aged man who lived in the same neighbourhood as Nayoung’s family. Later, the police found giga-bites of child porn videos in on Mr Cho’s personal computer. At that time, I was pregnant, living in Palo Alto in the US. Just like any other mom, I was also extremely upset when I encountered this news. I attentively followed the story through online news portals. 


2008년 12월, 한국에서 "나영이 사건"이라고 불리는 끔찍한 사건이 있었다. 8세 소녀 나영(가명)이가 학교 가는 길에 소아성애자 조두순에게 납치되어 잔혹하게 성폭행당하고 거의 죽을 뻔한 상해를 입었다. 온 나라가 이 잔인한 사건에 격분했다. 나에게 가장 충격을 준 것은 가해자인 조씨의 평범함이었다. 그는 나영이네 가족과 같은 동네에 사는 평범한 중년 남자였다. 이후 경찰은 조씨의 개인 컴퓨터에서 엄청난 양의 아동 포르노 동영상들을 발견했다고 한다. 그 당시 나는 둘째를 임신 중이었고, 다른 엄마들처럼 나도 이 소식을 접했을 때 극도로 화가 났다. 미국 팔로알토에 살고 있던 나는 온라인 뉴스 포털을 통해 그 사건의 추이를 살피고 있었다. 

 

 

One day, I saw an image on one of the major news sites in Korea. It was drawn by Nayoung at her hospital bed with her wish that the court would give Mr Cho the maximum punishment. While scrolling down to read this news article, I saw another image right below Nayoung’s drawing. It was a photo advertisement of a naked girl on her bed with the large-print title “A photo gallery of an innocent 16 year-girl who invites you to her bedroom”. I could not breathe. I felt a sharp pain in my tummy. Uncontrollable tears came out from my eyes. I did not know why. It is likely due to the hormonal emotional roller-coaster of pregnancy. A huge wave of complex feelings - combinations of sadness, anger, and guilt, that I could not identify, surged through me. I found myself keep repeating “I’m sorry, I’m sorry, I’m sorry”. I’m sorry to whom? To Nayoung, or to Nayoung’s parents?

 

어느 날, 나는 한국의 한 주요 뉴스 사이트에서 한 장의 그림을 보았다. 이 그림은 조씨에게 최대한의 형벌을 내려 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영이가 병원 침대에서 그린 그림이었다. 이 뉴스 기사를 읽기 위해 스크롤을 내려가는 동안 나영이의 그림 바로 아래에 있는 다른 사진을 보았다. 침대에 벌거벗은 소녀의 사진 광고에 “16세 소녀가 당신을 초대합니다.” 라는 광고문구가 크게 붙어 있었다. 나는 숨을 쉴 수가 없었다. 나는 뱃속에서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졌고, 눈물이 나도 모르게 흘렀다. 나는 내가 왜 그러는지 알 수 없었다. 감정을 널뛰게 하는 임신 호르몬 때문인지 모르겠다. 슬픔, 분노, 죄책감이 뒤섞인 알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이 덮쳤다. 나는 "미안해, 미안해, 미안해" 라고 계속 중얼거리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누구한테 미안하다는거지? 나영이에게? 나영이의 부모님에게?

 

Back then, I was working at the Boston Consulting Group as a senior analyst and consultant specializing in technology and the digital media industry. The 2000s were tough years for traditional media companies due to the rapid rise of internet businesses. People started to stop reading paper-based newspapers and watching shows from TV. Newspaper circulation went down dramatically and traditional TV broadcasting could not get enough viewership. Furthermore, their traditional revenue models such as circulation and advertising collapsed. Blockbuster bankrupted in 2010 which symbolized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media industry. 


그 당시 나는 세계적 컨설팅업체인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에서 기술과 디지털 미디어 산업을 전문으로 하는 선임 애널리스트 겸 컨설턴트로 일해왔다. 2000년대는 인터넷 비즈니스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기존의 미디어 기업들에게는 힘든 시기였다. 사람들은 종이신문과 TV외 새로운 미디어 시장에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신문 발행부수가 급격히 감소했고 전통적인 TV 방송의 시청률이 떨어짐에 따라 판매부수와 광고와 같은 전통적인 수익 모델은 붕괴되어 갔다. 2010년에 블록버스터(Blockbuster)의 파산은 전통 미디어 산업의 붕괴를 상징했다.

 

In Korea, the Internet revolution and technology disruption was even more dramatic as the Korean government strategically pushed digital transformation as a national agenda from the 1990s. While Korea was rising up as one of the most innovative and wired countries in the world, the traditional media companies in Korea desperately sought out a new business model. Click-bates with lewd and provocative content that brought quick and easy online advertisement cash were one of new revenue sources for these companies. This online news page having the image of Nayoung’s drawing and the child porn ads together was not coincidental. At that moment, I realized that the victim was not just one 8 year-old girl in Korea. The offender was also not just one child-porn addict. I concluded that “my children, your children, and all children around the world can be at risk. And we all are responsible”. 


특히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디지털 혁신(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면서 인터넷 혁명과 기술 파괴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빨랐고, 드라마틱했다.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인터넷이 많이 보급된 국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는 동안, 한국의 전통적인 미디어 기업들은 필사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았다. 외설적이고 자극적인 콘텐츠의 클릭베이트(Click-bates)는 빠르고 쉬운 온라인 광고 이익을 가져다주는 새로운 수익원 중 하나였다. 8세 나영이의 그림과 16세 청소년 반포르노 광고가 함께 실린 이 온라인 뉴스 페이지는 우연이 아니었다. 그 순간 나는 피해자가 한국의 8살짜리 여자아이 한 명만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그 범죄자는 단순히 한 명의 아동 포르노 중독자가 아니었다. 나는 "내 자식들, 당신의 자식들, 그리고 전 세계의 모든 아이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We are so easy to blindly praise new technology. We praised freedom of speech online. We praised Internet start-up billionaires. But we neglected our children who were placed in the blind spot of a dark corner of the Internet. We neglected “infollution” ? information pollution ? negative consequences of technology advancement ? such as cyber-bullying, technology addiction, privacy invasion, child-porn, online grooming, and more. While pollution has polluted our earthly environment, Infollution has polluted the minds of ourselves and our children’s. We have neglected our duty to carefully consider the impact of Infollution, especially on the weak and young.


우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열광한다. 우리는 온라인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고. 우리는 인터넷 스타트업 억만장자들을 찬사했다. 그러나 우리는 인터넷의 어두운 구석의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은 등한시해오지 않았는가. 우리는 사이버 왕따, 기술 중독, 프라이버시 침해, 아동 포르노, 온라인 그루밍 등과 같은 기술 진보의 부작용을 등안시했다. 이를 정보 공해라는 의미의, "인폴루션(infollution)"라고 한다. 공해(폴루션)는 우리의 지구 환경을 오염시킨 반면, 정보 공해 (인폴루션)은 우리 자신과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오염시킨다. 우리는 특히 사회 약자와 여성, 어린아이들에게 미치는 인폴루션의 영향을 더욱 신중히 고려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해왔다.


 

Speaking at the Owners Forum at Hong Kong, 2018. / 2018년 홍콩 오너 포럼 연설

 

In September 2009, I went back to Korea and decided to start a not-for-profit initiative called “infollutionZERO (iZ)” with the vision of making Infollution around our children into ZERO. Nowadays, parents a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screen time and exposure to cyber-risks. But in 2009, unfortunately, not many parents were aware of, nor cared about child online safety issues. And many industry and government leaders did not welcome such initiatives as they came across as creating unnecessary complaints against a major national agenda of digital transformation. 


2009년 9월, 나는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우리 아이들을 중심으로 한 인폴루션을 ZERO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비영리 단체인 'infolutionZERO(iZ)'를 시작했다. 요즘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스크린 타임과 사이버 위험에 노출되는 것에 대해 걱정하시곤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10여년 전인 2009년에는 많은 부모들이 어린이들의 온라인 안전문제에 대해 크게 자각하지 못했고 그다지 큰 관심도 가지지 않았다. 또한, 많은 업계와 정부 지도자들은 ‘infolutionZERO(iZ)'운동은 디지털 혁신이라는 주요 국가적 산업전략에 대해 불필요한 불만을 제기하는 것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큰 환영을 받지 못했다.

 

An even more unfortunate thing was that I was not smart enough to understand this reality fully. It did not take long for me to find out that people thought of me as an idealistic weirdo, and/or total loser. When I officially opened the office in January 2010, a few major newspapers in Korea wanted to interview me, not because of the infollutionZERO agenda, but because of my elite profile. They all asked me “why did you volunteer to become a secondary citizen after all of your academic study and hard training in international businesses?” At that time in Korea, starting a not-for-profit start-up (especially with a topic that “nobody-cares” about) was considered a failure unless you have a great mission that all recognize, you have a political ambition, or you have a personal tragic story to fight against. I had none. I just saw the problem, and I thought I could work on it. That was all. Nothing heroic, nor political, nor vindictive. 


사실 진짜 안타까웠던 것은 내가 이러한 현실을 충분히 파악할 만큼 똑똑하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사람들이 나를 이상주의적인 괴짜 혹은 실패자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2010년 1월 정식으로 사무실을 열었을 때, 한국의 몇몇 주요 신문들이 나를 인터뷰하고 싶어했는데, 그것은 인폴루션제로 내용 때문이 아닌 내 엘리트 프로필 때문이었다. 그들은 모두 나에게 "왜 하버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글로벌 기업에서 일까지 하고 나서 굳이 왜 이렇게 별로 주목받지 않는 시민 운동을 하려고 하느냐"고 물었다. 당시 한국에서는 비영리사업(특히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주제에 관해서)을 시작하는 것은 모두가 인정하는 위대한 사명이 있거나, 정치적 야망이 있거나, 아니면 맞서 싸워야 할 개인적인 비극적 사연을 가지지 않는 한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것 같다. 나는 이 어느 경우에도 해당되지 않았다. 나는 단지 문제를 보았고, 내가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잘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게 전부였다. 영웅심도, 정치적 야심도, 복수심도 없었다.

 

A few months later, I was asked to meet one of the officials of the Blue House who saw one of my newspaper interviews. He asked me “what are you trying to achieve?” I immediately sensed that he also wanted to check if I had any political ambition or hidden agenda.  
I told him that “within 10 years, I will set the global standards for digital safety and empowerment for children. So that every ICT company and policy maker around the world cannot ignore and they have to put child protection and education as a top priority.” He paused for a moment with surprise and then gave me a look. I could read his eyes’ silently telling me “who do you think you are”. He smiled and said “Well. I don’t think it will be possible, but good luck”. 


몇 달 뒤, 나는 내 신문 인터뷰 중 하나를 본 청와대 관계자로부터 만나자는 요청을 받았다. 그는 나에게 "왜 이런 일을 하세요. 도대체 무엇을 하려고 그러세요?"라고 물었다. 나는 즉각적으로 그 사람 역시 나에게 정치적 야망이나 숨은 의도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었다.
나는 그에게 "앞으로 10년 안에 어린이들을 위한 디지털 안전과 디지털 교육에 대한 국제 표준을 만들 예정입니다. 전 세계 모든 ICT 기업과 정책 입안자가 아동 보호와 교육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지요.”라고 말했다. 그는 잠시 말을 멈추었다가, 다시 나를 쳐다보았다. 나는 그의 눈이 조용히 나에게 "너는 네가 뭐라도 되는 줄 아나보네."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그는 미소를 지으며 "글쎄요. 불가능할 것 같지만 행운을 빌어요”라고 말하고 헤어졌다.

 

Really? Honestly, I did not have such a grand 10 year-vision. I have never thought about it at all. I have struggled to survive day by day since I started infollutionZERO. Somehow, it just came out of my mouth. Maybe I said it out of frustration and anger as people did not seriously care about the cause. Only a few people truly supported it. At almost every meeting for fundraising or activism, I was either ignored or laughed at. However, that conversation gave me a new vision and goal. “Why not. I will set up the global standards of the Internet within 10 years.” On that day, I wrote in my diary that I would work on this social impact journey for the next 10 years and would develop the following three things: a global standards framework that every nation can adopt, a global child program that every child can use, and a global index that every nation shall pay attention to. 


솔직히 내 스스로 내 말에 깜짝 놀랐다. 사실 난 그런 대단한 10년 비전을 세워본 적조차 없었다. 나는 인폴루션제로를 시작한 이후로 살아남기 위해 그저 나날이 근근히 지내왔다. 그런데, 왜 그런 말이 내 입에서 튀어나왔는지 모르겠다. 어쩌면 사람들이 그 어린이 온라인 안전 문제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에 대한 나의 반감, 좌절과 분노 대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몇 명의 사람들만이 진정으로 지지하고 도왔다. 펀드레이징 같은 것은 거의 불가능했고, 거의 대부분의 모임에서 나는 무시당하거나 비웃음을 받았다. 하지만, 그 대화는 나에게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주었다. "그래. 나는 10년 안에 인터넷의 글로벌 표준을 세우겠다." 그 날, 나는 내 일기에 앞으로 10년 동안 다음 세 가지를 만들겠다는 목적을 적었다. 모든 국가가 채택할 수 있는 글로벌 표준 프레임워크, 모든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아동 프로그램, 그리고 모든 국가가 주목해야 할 글로벌 지수.

 

Announcement of Coalition for Digital Intelligence in collaboration with OECD, IEEE, and World Economic Forum. DQ was recognized as the global standards for digital literacy, skills, and readiness. (26 September 2018)
OECD, IEEE, 세계경제포럼과 협력하여 디지털 지능 연합 발표. DQ는 디지털 리터러시, 기술력, 준비성을 글로벌 표준으로 인정받았다. (2018년 9월 26일)

 

On 26 September 2018, I was sitting at a press conference room of the World Economic Forum in the UN General Assembly Week in New York City, together with Gabriela Ramos - the OECD Chief of Staff and Sherpa to the G20, Karen Mccabe- a Senior Director of the IEEE Standards Association, and Eric White leading the Internet for All program for the World Economic Forum. These thre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DQ Institute announced the launch of the Coalition for Digital Intelligence, a global coalition to promote digital intelligence (DQ) around the world. All thre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greed to use the DQ framework that I developed as global standards for digital literacy, skills, and readiness. The child online safety was as its core component of the DQ framework. While sitting at the stage of the press room, I remembered myself in 2010 at the Blue House telling an officer about my 10 year-goal which was completely nonsensical back then. I realized that it was my 9th year since I started infollutionZERO. Chilled. Overwhelmed. Afraid.


2018년 9월 26일, 나는 뉴욕시에서 유엔총회 주간에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회견장에서 OECD 비서실장 및 G20 쉐르파인 가브리엘라 라모스(Gabriela Ramos), 전기전자기술자협회 (IEEE)와 선임 이사인?캐런 맥캐비(Karen Mccabe)와 세계경제포럼의 인터넷포올 (Internet for All)을 이끌고 있는 에릭 화이트(Eric White)와 함께?Coalition for Digital Intelligence라는 국제 연맹을 창설했다. 이들 세 국제 기구와 DQ연구소는 전 세계에 디지털 지능(Digital Intelligence, DQ)를 높이는 일을 같이 하기로 결의를 했으며 세 국제 기구 내가 개발한 DQ 프레임워크를 디지털 리터러시과 디지털 역량의 국제 표준으로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아동 온라인 안전은 DQ 프레임워크의 핵심 구성요소였다. 회견장 무대에 앉아 있던 나는 2010년 청와대 한 관계자에게 당시 나의 10년 목표에 대해 말한 것이 생각났다. 그리고 인폴루션제로 운동을 시작한 지 9년째라는 것을 깨달았다. 

 

  

(Left) Speaking at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18 at Brazil / 2018년 브라질에서 라틴 아메리카 #DQEveryChild에 대해 세계 경제 포럼 발표

(Middle) Speaking at the Summer Davos, China 

(Right) Announcement of Turkey national roll-out of #DQEveryChild together with Turkcell CEO in 2018 / 2018년 터키 이스탄불에서 터크셀(Turkcell) CEO와 함께 #DQEveryChild 개최

 

Because I could not work towards setting the standards, nor plan anything strategically to be prepared for that stage. I did not have the luxury to think about that vision or my three goals. I tried to seize every opportunity and work on anything that I could do related to child online safety an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 worked with children to develop children’s digital citizenship programs. I conducted the training for teachers, and parents. I ran public campaigns and social outreach with ICT and media companies. I worked on policies and regulations for governments. I conducted academic research. I worked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whatsoever capacities. I made so many mistakes. I had many failures. And I also had some good successes. 


사실 나는 국제 표준을 정하겠다고 작정하고 생각하고 일해본 적도 없고, 이런 국제 연맹을 세우기 위해 어떤 전략적인 계획도 세운 적은 없다. 지난 10년간 나는 그 비전이나 나의 세 가지 목표에 대해 생각할 여유 따위는 없었다. 나는 내 앞의 어떤 기회든 보이기만 하면 잡으려고 노력했고, 아동 온라인 안전과 디지털 시민 교육과 관련하여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다 해왔다. 나는 어린이들과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교사나 학부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ICT나 미디어 기업들과는 함께 공공 캠페인과 사회 홍보 활동을 전개했고, 정부를 위한 정책과 규제를 연구했고, 학술 연구도 수행했다. 나는 국제기구들과는 무슨 일이든 필요한 대로 다 했다. 나는 엄청나게 많은 실수를 했고, 많은 실패도 겪었다. 또한 몇몇 좋은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From March 2017, I started running #DQEveryChild - global digital citizenship movement with the aim of empowering every child with digital citizenship using the DQ World e-learning program for 8-12 year-olds. Within 3 years, this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reached more than 1 million children in over 80 countries both online and offline. Thankfully over 100 partners including Singtel, the World Economic Forum, Twitter, ITU, G20, UNESCO, UNICEF, UN, OECD, and more, worked together. And in February 2020, based on the past three years of #DQEveryChild, I published the Child Online Safety Index (COSI) ? the world’s first real-time measure to help nations better understand their children’s online safety status. In June 2020, I made an official suggestion to the G20 Digital Economy Task Force that COSI should be included to the G20 Measurement of Digital Economy. 


2017년 3월부터 DQ 월드 e-러닝 프로그램을 통해 8-12세의 모든 아동에게 디지털 시민권 부여를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 디지털 시민 운동인 디큐에브리차일드#DQEveryChild 캠페인을 시작했다. 3년 안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80개 이상의 국가에서 100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이 디지털 시민교육을 받았다. 감사하게도 싱텔(Singtel), 세계경제포럼, 트위터, ITU, G20, 유네스코, 유니세프, UN, OECD 등 100여 개 파트너가 협력했다. 그리고 2020년 2월, #DQEveryChild의 지난 3년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나는 세계 최초로 자녀의 온라인 안전상태를 국가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시간 측정지수인 글로벌어린이온라인안전지수(COSI; Child Online Safety Index)를 발표했다. 2020년 6월, 나는 G20 디지털경제 태스크포스(Digital Economy Task Force)에 COSI를 G20 디지털 경제 측정수단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공식 제안을 했다.

 

(Left) Kicking off the DQ day on 10 Oct 2019 at the New York City / 2019년 10월 10일 뉴욕 DQ데이 시작
(Right) Working with Unicef Korea 유니세프 코리아와 함께 협업


On 10 October 2019, the inaugural international “DQ Day” was launched at two major cities ? New York City and London. It was the start of my 10th year since I launched infollutionZERO. At New York City, I launched the DQ Day conference at the World Economic Forum together with IEEE, IBM, World Economic Forum, and many other partners, and at London, the Lord Mayor of the City of London, Peter Estlin launched a nation-wide digital skills initiative with the title of “Future.now”. At the DQ Day conference, I thanked all of partners and team and celebrated that our initial three 10-year goals were materialized through the DQ framework, #DQEveryChild, and Child Online Safety Index. It was never “I” who has achieved this. It was a collective “we” who have achieve it together. On that day, I was asked by many people, “so now, what are you planning to achieve in the next 10 years?” Thankfully, this time, it was asked with genuine interest and sparkling passion. 

 

2019년 10월 10일에는 뉴욕시와 런던 두 주요 도시에서 제1회 국제 'DQ데이'가 출범했다. 인폴루션제로를 출시한 지 10년째 되는 해의 시작이었다. 나는 뉴욕 시에서 IEEE, IBM, 세계경제포럼 등 많은 파트너와 함께 세계경제포럼에서 DQ데이 컨퍼런스를 시작했으며, 런던에서는 피터 에스틴(Peter Estlin) City of London시장이 "Future.now"라는 제목으로 전국적인 디지털 역량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10년 전의 비전과 세가지 목표이 DQ 프레임워크, #DQEveryChild, 그리고 글로벌어린이온라인안전지수(COSI; Child Online Safety Index)로 이루어진 것이다. DQ 데이 컨퍼런스에서 모든 파트너, 팀원들과 함께 축하했다. 이 결과는 결코 나의 성과가 아니고, 우리가 함께 만들어낸 성취였다. 그 날, 사람들이 나에게 물어봤다. "자. 이제 앞으로 10년은 무엇을 할 계획인가?". 고맙게도 이번에는 진정한 관심과 반짝이는 열정을 가진 분들과 함께 였다. 

 

My Work-Life-Balance / 나의 일과 삶의 균형

 

 

I like to take a sky photo during my morning run-walk.
나는 아침 런워크를 하면서 하늘사진을 찍는 것을 좋아한다.

 

Honestly, there hasn’t been a “balance” between my work and life last 10 years. Instead, while working full time and raising two children, I have my own fixed daily routine that regulates my time schedule as rigid as possible. My day starts from 5AM. 5AM-7:30AM is the only time that I can be completely alone and solely have for myself. Precious. It is the best time to read, pray, and think. In Singapore, the sun rises around 6:45AM. I go out for a run-walk at 6:30AM for an hour. 


솔직히, 지난 10년 동안 내 일과 인생 사이에 '균형'은 없었다. 대신 풀타임으로 일하고 아이 둘을 키우면서, 내 시간 일정을 최대한 엄격하게 조절하고자 했고, 나만의 정해진 하루 일상이 있다. 나의 하루는 새벽 5시부터 시작한다. 새벽 5시부터 아침7시 30분까지는 내가 완전히 혼자일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고 나 자신 만을 위할 수 있는 시간이다. 그래서 매우 소중하다. 책을 읽고, 기도하고, 생각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다. 싱가포르에서는 오전 6시 45분경에 해가 뜬다. 나는 아침 6시 30분에 한시간 정도 뛰고 걷는다.

 

Family Photo / 가족사진


My kids wake up around 7:30AM. The usual morning routine with kids while having a breakfast, sending them off to schools, and getting ready for my own work takes me to 9AM. I started working at home after the COVID-19 Pandemic started. My team in my organization works in flexible schedules. They are all spread across Korea, the USA, and Singapore. And I have various international partners around the world. So, my morning and night time are usually blocked with various virtual conference calls. And my day times until 4PM are blocked with work as my kids come back home or finish their e-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round 4PM. I try to secure my time 5-9PM for family without conference calls or meetings. Not always successful. 


아이들은 아침 7시 30분쯤에 일어난다. 아침밥을 먹고, 아이들을 학교로 보내고, 내 일을 준비하다 보면 오전 9시가 된다. 나는 COVID-19 팬데믹 이후 집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우리 팀은 유연한 스케줄로 일한다. 그들은 한국, 미국, 싱가포르에 거주하고 있고, 우리는 여러 국제 파트너들과 일을 한다. 그래서 나의 아침과 밤 시간은 대개 가상 회의 통화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오거나 혹은 그들의 e-러닝(COVID-19 대유행 기간동안)이 끝나는 오후 4시쯤까지는 일을 한다. 나는 오후 5시에서 9시까지 시간은 가족과 있는 시간으로 확보하려고 노력한다.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I don’t usually enjoy dinner eat-outs or fancy parties. And I don’t usually join networking gatherings or work dinners unless they are absolutely necessary. My husband is a great cook. I like eating at home with family. After the dinner, I have extra 1~2 hours of work usually with conference calls, and I go to bed. In short, my day is a cycle of work-family-alone times. I know it sounds quite boring to most people. But I cherish my simple life. And I am grateful that I can have one. 


나는 저녁 외식이나 화려한 파티는 잘 즐길 줄 모른다. 그리고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보통 네트워킹 모임이나 직장 회식에 참여하지 않는다. 감사히 우리 남편이 요리를 잘 해서 나는 집에서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것을 좋아한다. 저녁 식사 후에는 보통 1~2시간 정도 더 일을 하고, 잠자리에 든다. 한마디로 나의 하루는 거의 일과 가족으로 채워진 다람쥐 쳇바퀴 도는 것 같은 삶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꽤 지루하게 들린다는 것을 알지만, 나는 나의 단순한 삶이 좋다. 그리고 나는 이러한 삶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

 

by Yuhyu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