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JF<Life & Work Balance> #5

Hwayoon Lee (Violist) 


Hwayoon Lee is a globally renowned chamber and solo violist. She is currently studying for her master’s degree at the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under the guidance of Ulrich Knörzer. She won the Grandprix in the Yuri Bashmet Viola Music competition, and she was selected as a gifted artist in the Anne-Sophie Mutter foundation.  She performs in major concert halls and festivals along the likes of global musicians such as Yuri Bashmet, Gidon Kremer, Anne-Sophie Mutter, Krzysztof Penderecki and András Schiff and has cemented her spot as a gifted violist on the global stage.

 

비올리스트 이화윤은 실내악 및 솔로 연주자로서 세계 무대에서 다양한 연주를 하고 있으며, 현재 독일 베를린 예술대학교(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에서 Ulrich Knörzer의 지도 아래 석사과정을 하고 있다. 유리 바슈메트 비올라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등장한 그녀는 안네-소피 무터 재단 영재 아티스트로 선정된 바 있으며, 주요 콘서트홀과 축제에서 유리 바슈메트, 기돈 크레머, 안네-소피 무터,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안드라스 쉬프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과 함께 연주하며 비올리스트로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였다.

 

 

 

 

Work, How to Connect Me to the World <일, 나와 세상의 연결>


I am currently a violist, however when I was young my future dreams were different every single day. My first dream was to be a pharmacist. I thought it was cool how pharmacists would help heal people by prescribing medicine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condition. While reading English novels, I also dreamed of becoming a novelist. I found interest in the ways novelists told a story, and as a result I wanted to learn a foreign language.  At the age of 7, my family planned a family trip to Berlin, and as a result I decided to learn German.  The importance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has carried into 2020, as I live in Berlin today. As a classical musician, I can say that music connects me to the world, however, I believe that learning a language allows me to better communicate with my audience as well as my fellow peers.

 

저는 현재 비올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지만, 어린시절 장래희망은 하루가 다르게 바뀌었습니다. 그 첫번째 꿈은 약사였습니다. 사람들의 체질에 맞게 약을 지어주며 아픈 곳을 낫게 해주는 모습이 신기하게 보였습니다. 한때는 영어로 쓰여진 동화책을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스토리에 녹아 있는 작가마다의 개성 있는 화법에 흥미를 느껴, 우리 말 외에 다른 언어를 꼭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침 7살이었던 해 겨울, 베를린으로의 긴 가족여행을 계획했던 터라 독일어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그 때 깨달은 언어의 중요성을 베를린에 살고 있는 2020년 지금까지도 절실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클래식 연주자로서 음악 자체가 세상과 나를 이어주는 매개체라고 이야기할 수 있지만, 관객 그리고 동료들과 더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언어는 제가 더 배우고 공부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Looking back, I believe every experience and inspiration that I had since the age of 4 has prepared me for an “interaction” with the real world.  From first learning Pansori or singing a song on the KBS radio program has required me to have a lot of courage as a little girl. Studying in Germany afterwards required me to spill in a lot of effort and passion as it was a brand-new challenge. However, I believe I grew a lot as a person through this foreign and uncertain process. Without interaction and challenge, wouldn’t music, as well as my life be very mundane?

 

돌이켜보면 4살부터의 모든 경험과 영감들은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될 세상과의 “Interaction”을 위한 것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처음 판소리를 배울 때나 KBS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노래를 부른 일은 어린 저에게 큰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이후 독일에서 공부하면서 독일어에 쏟은 노력과 열정 또한 힘든 도전이었지만, 낯설고 막막한 두려움을 끊임없이 깨 나가는 과정에서 제 자신이 성장하고 있음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Interaction과 도전이 없었다면 음악은, 그리고 제 인생은 너무나 무미건조해지지 않았을까요?  

 

(Left) At the stage of Pansori epic chant 
(Right) After the solo recital in Bremer Glocke with a pianist, Thomas Hoppe (ⓒMeine erbe tut gutes)

 

 

My life, Do My Best Every Single Moment <나의 삶, 매 순간의 최선>

 

Kronberg im Ts., in Germany with a Pianist András Schiff, 2015 (ⓒAndreas Malkmus. Kronberg Academy)

 

The uniqueness of music is that it pursues originality and improvisation, as the performing arts are unpredictable by nature. No one moment is ever the same. The performer’s condition, emotional state, audience, performing venue can influence and differentiate how a piece sounds. The other people with whom the performer plays can also create a different synergy, sound and mood. More so today, where social media has become so easily accessible, it is important to communicate with our surroundings as well as others. Preparing a performance with my fellow musicians via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taste of the audience has become essential. It is most important to do my best on the stage as the outcome of a performance can differ by my focus. Regardless of the outcome, there are no regrets if I give my best, and the experiences I earn become my valuable assets. Wouldn't it be a bit cliché if I said my family, teachers, and everyone I met today were my role models? However, it is true. I always strive to learn from everyone whom I meet in my life.

 

음악의 특별함은 변화와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행위예술처럼 매 순간이 다르고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날 연주자의 컨디션, 감정상태, 관객의 분위기, 연주 장소와 도시에 따라 같은 곡이 다르게 들릴 수 있고, 누구와 연주하느냐에 따라 일어나는 시너지/Spark가 다양합니다. 더욱이 SNS가 보편화 된 지금, 하루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환경속에서 주변과의 소통은 더더욱 중요해졌지요. 관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동료 연주자들과 교류하면서 공연을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음악의 특징이 신선함이고 무대 위 매 순간의 집중이 연주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어떤 순간에도 최선을 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결과가 어떻든 최선을 다했다면 후회할 일이 없고 그 경험이 자산이 되기 때문입니다. 저의 가족, 선생님들, 그리고 오늘 하루 만나며 교류했던 모든 분들이 제 인생의 롤모델이라면 다소 생소하게 들리겠지요? 하지만 사실입니다. 저는 모든 분들로부터 매 순간 배우며 저의 부족한 점을 채워 나가려고 노력합니다.  

 

Sports also has a large impact in my life, almost as much as music. The joy you get from the energy of sports is comparable to the feeling that one gets when performing an instrument on stage. Sports and music are similar in the aspects that they both require constant practice and that there are no limits. On top of that, it can also be an individual journey, although interaction with others is common in both sports and music.

 

또한 저의 생활에 있어서 운동은 음악 못지 않게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운동으로 활동적인 에너지를 표출할 때 느끼는 희열은 무대위에서 악기를 연주하면서 느끼는 감정과 견줄 수 있습니다. 운동과 음악은 꾸준한 훈련이 필요하고 자신의 한계를 깰 수 있다는 점에서 비슷한 면이 많습니다. 그리고 자기 혼자와의 싸움이며, 또한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일들이기도 하지요. 

 

Marlboro Music Festival, 2019. (ⓒPete Checchia, Marlboro Music)

 

(From Left) Roman Patkoló, Anne-Sophie Mutter, Daniil Trifonov, Hwayoon Lee, Maximillian Hornung. 
2017 Salzburg Festival, Großes Festspielhaus (ⓒ Anne-Sophie Mutter)

 

 

Music, Healing and Joy <음악, 치유와 기쁨>

 

Music is both my hobby and my job. The reason being my job is because I aim to reach the highest level of musical perfection and professionalism, and the reason being my hobby is because the more I put into it, the more joy I feel. Doing what one loves as a job is a thankful experience. The gratitude I feel from performing music with other people has allowed me to grow, as well as bring me into a deeper world of music. As a child, I would go to my grandmother’s church to perform and meet a lot of new friends. Among them were kids who did not have parents or had physical difficulties. I recall giving my first viola to a friend when it eventually became too small for me. That friend found joy and meaning through music and is majoring in music in university. I learned that sharing can discover the hidden talents of each person.

 

음악은 저에게 있어 취미이자 직업입니다.  직업인 이유는 더더욱 높은 음악적 완성도와 전문성으로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노력하기 때문일 것이고, 취미인 이유는 이 일에 저의 진심을 더할 때 즐겁고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사랑하고 행복한 일이 직업이라는 것은 정말 감사한 일입니다. 많은 사람들과 음악을 나누면서 느끼게 되는 감사함으로 인해 더욱 더 발전하는 제 자신은 물론, 보다 깊이 있는 음악의 세계를 마주하게 됩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할머니께서 다니시던 교회에서 연주해왔고 그 곳에서 다양한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그 중에는 부모가 없거나 신체적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저의 첫 비올라가 작아졌을 때 몸이 불편한 친구에게 그것을 주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친구는 비올라 때문에 음악에서 기쁨과 의미를 찾고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게 되었습니다. 나눔은 한 사람의 숨은 재능까지도 찾아 줄 수 있는 귀한 것이라는 것을 배웠지요. 

 

During my performance at the Mozart Symphonic Concert with Anne-Sophie Mutter, we invited some German kindergarteners to watch our rehearsal. That was the first of many events in which I performed for audiences in nursing homes, orphanages, hospitals, schools and churches in Germany and the US. Music can show the beauty of arts to everyone regardless of age, gender and race. Do you see how amazing it is?


안네-소피 무터와 모차르트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협연을 하던 때, 독일 유치원 친구들을 초대하여 연주 리허설을 보게 한 것을 시작으로 독일과 미국의 양로원, 고아원, 어린이 병원, 그리고 학교와 교회에서 음악으로 봉사했습니다. 학교와 교회에서 나이, 성별, 인종과 상관없이 예술의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는 음악이 얼마나 위대하게 느껴졌는지요? 

 

The music I have prepared for everyone today is a piece from Bach and Strauss. Due to the unprecedented impacts of the coronavirus we are living in an unpredictable world filled with anxiety. When listening to Richard Strauss’s I hope you gain courage and hope for the future. And through Bach’s I look to spread Jesus Christ’s love and the warmth it brings.

 

제가 여러분을 위해 준비한 음악은 바흐와 슈트라우스의 곡입니다. 예기치 못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저희는 앞을 예측하기 어려운 혼란스러운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저희 세대에서는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일이기에 불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지요. 슈트라우스의 <내일> 이라는 곡을 들으며 미래에 대한 용기와 희망을 얻기 바랍니다. 그리고, 바흐의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를 통해서 예수님의 따뜻한 사랑으로 여러분께 위로를 드립니다. 

 

랜선 합주_슈트라우스
 

> 위 영상은 한국의 3대 방송사 중 하나인 SBS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비디오머그’ 와 함께 공연하였고 벨기에와 독일, 한국에 있는 연주자들이 각각 연주를 한 뒤 이를 모아 편집해 ‘랜선’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치유와 감동, 그리고 희망을 주었습니다. 


이신우교수와의대화_포스트코로나시대,변화하는클래식음악에대하여  < 클릭하시면 PDF파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y Hwayoon Lee